친절한 널스

눈의 해부 구조 본문

성인 간호학/안과

눈의 해부 구조

널스 2022. 8. 21. 15:38
반응형

눈의 해부 구조

(1) 안구(eyeball)

안구의 크기는 성인의 경우 24mm 정도이며, 용적은 6.5cc 정도입니다.

안구

1) 외막

가. 각막(cornea)

눈의 제일 앞쪽에 위치하는 투명한 무혈관 조직막입니다.

안구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막 중 앞쪽의 1/6(면적 약 1.3)을 차지합니다.

혈관이 없는 조직으로 공기 중에서 직접 산소공급받습니다.

안구를 둘러싸고 있는 뒤쪽의 공막과 연결합니다.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전달과 굴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질환이 발생할 경우 각막의 투명도가 소실되면서 시력에 악영향을 줍니다. 각막의 투명성은 각막의 매끈한 표면과 무혈관성, 각막 기질에 존재하는 아교질 섬유의 규칙적인 배열, 내피세포의 생리적 기능 등에 의해 유지됩니다.

⑥ 각막상피각막 상피, 보우만막보우만 막, 각막기질, 데스메막, 각막내피의 3개의 세포층과 2개의 경계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나. 공막(sclera)

안구를 둘러싸고 있는 하얀 막입니다.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안구 운동의 중심이 되는 조직입니다.

안구의 뒷부분 치밀한 섬유조직으로 희고 단단합니다.

상공막의 혈관과 맥락막의 혈관 망에서 공급받습니다.

신경 분포하므로 염증 발생 시 통증이 심하니다.

 

 

 

 

2) 중막

 

가. 홍채(iris)

각막과 수정체 사이에 위치합니다.

동공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함으로써 눈으로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역할을 합니다.

밝을 때는 홍채가 늘어나 동공을 작게 함으로써 빛이 조금 들어오게 조절하고, 어두울 때는 홍채가 수축해서 동공이 커져 많은 양의 빛이 들어오도록 조절합니다.

맥락막에 의해 지지되며 근육이 수축, 이완함으로써 눈동자가 크기 변화하여 빛의 양 조절합니다.

중앙에 검은 구멍처럼 보이는 것을 '동공(Pupil)'이라 합니다.

 

 

나. 모양체(ciliary body)

맥락막 전방 끝부터 홍채까지 걸쳐 있는 직삼각형 모양 조직으로 평활근과 혈관으로 구성됩니다.성 됩니다.

홍채에 혈액 공급 역할을 합니다.

안구 내 방수 생산을 담당하여 안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모양체근의 작용에 의해 수정체를 변형시켜 조절력을 변화시킵니다.

 

 
 

 

 

다. 맥락막(choroid)

망막과 공막 사이에 위치하는 0.10.2mm 두께의 혈관으로 이루어진 막입니다.

혈관이 분포하여 혈액을 통해 망막의 바깥 1/3 부분의1/3 대사를 주관하고 바깥층에 영양을 공급합니다.

흑갈색의 세포막이 있어 공막을 통하여 들어오는 광선을 차단해 카메라 어둠상자 같은 역할을 합니다.

혈관 망은 공막에 영양을 공급하고 앞쪽으로 모양체와 홍채로 분화됩니다.

 

 

 

3) 내막

 

가. 망막(retina)

시신경에 자극을 전달하는 감각세포와 섬유가 분포하며,, 혈관을 포함합니다.

눈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시세포와 시신경 분포하는 얇고 투명한 막으로, 사진기의 필름에 해당되는 부분입니다.

규칙적인 10개의 층상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각막과. 수정체를 통해 들어온 빛이 망막에 초점을 맞춰 상을 맺어 시각이 나타나며, 시신경을 통해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뇌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망막의 가운데 부분에 있는 황반(중심와)은 시세포가 많이 분포되어 있어 색깔과 사물을 구별하고 시력을 나타내는 중심 부분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황반부에 질환이 발생할 경우 시력저하가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황반에는 밝은 곳에서의 시력과 색 감지하는 원뿔세포(추세포)가 존재해 명순응, 중심시력과 색 감각을 담당합니다

망막의 주변부에는 어두운 곳에서 기능하는 막대세포(간상세포)가 주로 존재해 암순응, 물체 형태와 명암을 구별합니다.

 

4) 굴절 구조와 매체

가. 수정체(lens)

양면이 볼록한 돋보기 모양의 혈관이 없는 무색투명한 구조로, 두께는 약 4mm, 직경은 약 9mm입니다.9mm입니다.

홍채의 안쪽에 있는 탄력이 있고 볼록한 렌즈로 각막과 함께 빛을 굴절시켜 물체의 상이 망막 위에 맺히도록 합니다.

물체가 가까이 있을 때, 멀리 있을 때 두께 이완 또는 수축시켜 볼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여 눈의 주된 굴절 기능인 초점 조절을 담당합니다.

눈 속의 수정체는 사진기의 렌즈에 해당하므로 눈의 수정체에 혼탁이 생기면 빛이 잘 통과하지 못해 물체가 흐리게 보여 결국 시력 저하가 유발되는 것이 백내장입니다.

 

나. 유리체(vitreous body)

초자체라고도 불리며, 수정체와 망막 사이에 위치합니다.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섬유 성막으로 쌓여 있는 투명한 공 모양 구조물로, 속은 99%의 물이 함유되어 있는 겔 상태입니다.

아주 투명하고 혈관이 없는 구조물로 눈 전체의 2/32/3 차지하며, 앞으로는 수정체와 접하고 있고, 뒤로는, 망막과 시신경 유두와 접하고 있습니다.

안구의 전체적인 형태 유지, 수정체 고정, 망막을 안구 벽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안구 안쪽으로 빛을 투과시킵니다.

모양체, 맥락막, 망막에서 영양을 공급받습니다.

 

다. 방수(aqueous humor)

안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생성되며 수정체와 각막에 영양을 공급합니다.

안구를 유지하여 각막을 광학적으로 적당한 형태를 갖게 합니다.

 

 

 

 

 

 

라. 시신경 유두(optic disc)

시신경이 안구에서 뇌로 들어가는 곳입니다.

추상 세포가 없어서 시야 검사에서 볼 수 없는 곳으로 시야검사에서 생리적 맹점으로 나타납니다.

 

 

 

 
 

(2) 눈의 부속기관

1) 안와(orbit)

안구가 있는 외상으로부터 눈을 보호합니다.

 

2) 안검(눈꺼풀, eyelids)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눈을 호합니다.

안구 표면 위로 분포시킵니다.

피부층, 근육층, 눈꺼풀판, 결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눈의 끝에서 두 눈꺼이 만나는 지을 안각(canthus)이라 합니다.

 
 

3) 결막(conjunctiva)

안검의 액선부터 눈꺼 뒷면에 걸쳐 공막 의 전면까지 있는 얇고 투명한 막입니다.

결막과 혈관은 무혈관성인 각막에 영양분, , 혈구를 공급합니다.

결막은 안구가 활하게 직일 수 있게 하며, 의 수성 및 점성 성분을 생성하며 면역기 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라서 제가 발생활 경우 안구운동 제한, 안구조증, 눈의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수 있습니다.

 

4) 눈물기관(lacriminal apparatus)

가. 누선(lacrimal gland)

외안각 상안검에 위치하고 안구에 되도록 합니다.

내안각의 상, 하안검에 있는 조만 개구 부위인누점(punctum)을 통해 눈 누낭으로 흐르게 되며, 루관(nasolacrimal duct)은 눈로 보 내는 통로입니다.

지질층, 수성층, 액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구표면의 작 용, 항균, 작용, 각막에 대한 영양공급을 합니다.

 

 

5) 눈의 신경

제 3신경(동안신경)은 동공크기를 조절하고 동공의 이완과 수정체 변화를 조 절하며, 외안근(상직근, 하직근, 내직근, 하사근)에 분포합니다.

제 4신경(활차신경)은 외안근(상사근) 운동을 담당합니다.

제 6신경(외향신경)은 외안근(외직근) 운동을 담당합니다.

 

(3) 근육

6개의 외안근(extraocular muscles) 4개의 은근(직근) 2개의 빗근(사근) 으로 구성되고, 눈의 조절하여 눈의 망막에 동시에 하나의 상을 하여 하나의 지로 보이도록 합니다. 각각의 근육은 고유의 운동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사시가 있는 경우 근육의 작용 통해 교정하 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