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널스

혈액투석 환자간호 본문

성인 간호학/신장내과

혈액투석 환자간호

널스 2022. 9. 23. 08:00
반응형

혈액투석 환자간호

 

1. 혈액투석 전 간호


가. 체중 측정

이전 투석보다 증가한 체중을 계산하여 기록합니다.

 

나. 투석 처방 확인

초여과량, 투석 전 검사, IDPN(Intradialytic parenteral nutrition) 등을 확인합니다.

 

다. 혈액투석 방법에 따른 투석기와 투석액을 준비합니다.

라. 투석 기계에 입력할 초여과량을 계산하고 전도도(Conductivity)를 결정합니다.


1) 초여과량


초여과량은 건체중(Dry wt.)과 비교하여 계산하고 체중측정이 불가한 경우는 환자의 섭취량/배설량(I/O) 흉부X-ray 상 흉수(Pleural effusion), 심막울혈(Pericardial congestion)등을 근거로 결정하게 되며, 의사의 처방에 따르거나 상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건체중(Dry weight)


과다한 체액이 거의 또는 모두 제거된 투석 후의 목표 체중을 말합니다.
건체중을 너무 높게 잡으면 환자는 투석 후에도 수분이 과다한 상태가 되므로, 투석 간 수분 섭취로 인하여 부종이나 폐울혈 등이 생길 수 있고, 반면  체중을 너무 낮게 잡으면 투석의 후반부 환자에게 자주 저혈압이 발생합니다.
건체중 이하로 초여과된 환자는 흔히 투석 후에 기운이 없고, 지친 느낌을 가지게 되며 근경련과 어지럼증 등을 경험합니다.
* 건체중은 흔히 때때로 변하므로 수시, 정기적으로 재평가 해야하며 투석간 환자의 부종, 호흡곤란, 투석후 피로, 근경련 등의 증상, 흉부 X-ray 촬영,심장 초음파 등으로 확인합니다.
* 건체중이 점차적으로 계속 감소되면 영양상의 문제가 있는지 또는 다른 질병이 있는지 점검합니다.


마. 환자의 건강사정

환자의 주관적 호소와, 객관적 데이터(검사결과 등)를 점검하여 현재건강문제 유무를 사정합니다.


바. 혈액 투석로 점검

동정맥루를 시진, 촉진, 청진하여 이전 투석 때와 비교하여 전율(Thrill),잡음(Bruit)이 약해졌는지, 감염의 징후는 없는지 점검하며 혈액투석 도관의 개존 여부, 감염 여부를 점검합니다.


사. 활력징후 측정

혈압, 체온, 맥박, 호흡수 등을 측정합니다.


2. 혈액투석 중 간호


가. 투석기계 모니터링

투석 치료 중 환자 및 투석 기계의 지속적인 사정으로 적어도 30분에 한 번씩 모니터링합니다.


1) 동맥압


동맥압은 환자의 바늘 위치와 혈액펌프의 근위부 사이에 체외 혈액순환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혈액펌프로부터 생기는 음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환자의 동맥압이 –100mmHg였는데 갑자기 –200mmHg이 되면 이는 응고되었거나, 바늘 위치가 잘못되었거나, 환자의 수축기 혈압이 떨어지거나, 동맥라인이 꺾인 것을 의미합니다. 

투석 간호사는 알람을 잘 보고 들어야 하며 즉시 관찰 하고 동맥의 높은 음압을 항상 사정하고 문제를 교정해 주어야 합니다. 동맥압 모니터링은 혈류속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며 동정맥루 기능저하의 가장 빠른 지표가 됩니다.


2) 정맥압


정맥압은 투석기 후부터 혈액이 환자의 몸으로 다시 들어오기 전까지의 부분에서 체외 혈액 순환압력을 측정한 것을 말하며 정맥 바늘을 통해 환자에게 들어가는 혈액의 저항을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정맥압이 50mmHg에서 150mmHg로 갑자기 증가했다면 이는 정맥라인이 꺾였거나, 공기 감지기가 응고 되었거나, 정맥쪽 바늘이 응고되었거나 어긋나 혈관통로가 실패할 위험이 있습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정맥압이 갑작스럽게 감소합니다면 정맥 쪽 바늘이 빠졌거나, 동맥 쪽 챔버가 응고된 것을 의미합니다.


3) 초여과 진행상태 확인


때때로 초여과량을 투석 시작 시 잘못 입력하거나 기계적인 오류로 초여과가 잘못 진행될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기계모니터링 시 초여과 진행상태도 반드시 확인합니다.


나. 정기적 혈압측정

수시로 혈압 등을 체크하여 환자상태를 파악하고 투석 중 발생 가능한 저혈압 등의 부작용을 사정하고 예방합니다.


3. 혈액투석 후 간호


가. 지혈

바늘을 제거한 후 알맞은 압력으로 5분∼15분간 지혈합니다. 

지혈하는 동안 맥박이 느껴져야 하며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 다시 지혈 포인트를 확인하여 지혈을 재시도 합니다.


나. 혈액투석 도관 드레싱 및 헤파린 locking

혈액투석 도관의 무균적 드레싱을 실시하고 각 lumen은 생리식염수로 flushing 해준 후 도관에 명시된 용적만큼 헤파린 희석액으로 채워 도관이 혈전으로 막히는 것을 예방합니다.


다. 활력징후 측정

체온, 맥박, 혈압 등을 체크합니다. 혈압은 앉아서 측정하여 기립성 저혈압을확인합니다.


라. 체중 측정

초여과된 수분 계산을 위해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합니다.


마. 환자교육

수분제한, 약물복용, 식이조절 등 환자에게 필요한 교육을 실시합니다.

반응형
Comments